전체 글100 금리의 원리 / 단리 (simple interest) - 금융수학 기초 1 금리의 원리 금리, 이자에 대한 원초적인 원리를 알아 보겠습니다. 금리는 돈을 빌리고 그 빌린 대가를 주는 것 입니다. 돈을 빌려주려면 내가 그 돈의 소유주여야 합니다. 남의 돈을 빌려줄 수는 없는거니까 당연한 것 입니다. 꼭 돈이 아니더라도 내가 가진 것을 남에게 빌려주면 그에 대한 댓가를 바랄 수 있습니다. 사업가들은 아이디어가 좋아서 온갖 것들을 다 빌려주고 돈을 받을 수 있는데 그 중에 대표적인 것이 돈 그리고 그 외에 물건입니다. 집을 빌리는 사람은 집주인에게 매달 월세를 냅니다. 빌리는 사람은 내가 집주인은 아니지만 나의 필요에 의해서 그 집에 돈을 내고 삽니다. 사용기간이 끝나면 다른 곳으로 이사를 가서 그 집을 원래 상태로 집주인에게 집을 돌려줍니다. 집주인 입장에서는 그대로 집을 받으면서.. 금융수학 2022. 5. 8. 대출금 상환 방식 3 - 원리금균등상환 계산방법 원리금균등상환 원리금균등상환은 대출기간 동안 첫달부터 끝나는 달까지 상환금이 동일한 상환 방식입니다. 앞서 알아본 원금균등상환은 월상환금이 나중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방식이라 처음에 부담이 있지만 만기가 다가올 수록 월 상환금이 줄어드는데 원리금균등상환 방식은 월상환금(원금 + 이자)이 회차에 상관없이 같다는 특성이 있습니다. 안정적인 월급을 받는 직장인이나 공무원의 경우 월소득이 일정하기 때문에 원리금균등상환 방식으로 대출을 받으면 미래의 예상이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월급 대비해서 월 상환금을 책정하니까 얼마나 지출이 필요한지 계산이 나옵니다. 예를 들어 1억원을 10년 만기에 대출이자 3%로 원리금균등상환을 적용하면 월 상환금은 965,607원이 나옵니다. 120개월(10년)동안 매달 이 금액을.. 일반상식/경제금융지식 2022. 5. 8. 대출금 상환 방식 2 - 원금균등상환 계산법 원금균등상환 원금균등상환은 대출기간 중에 매월 동일한 원금을 납부하는 방식입니다. 원금이 줄은 만큼 이자도 줄어가기 때문에 대출기간 초기에 납입금액이 많고 나중으로 갈수록 월 납부금이 줄어듭니다. 원금만기일시 상환에 비하면 총 이자비용이 줄어듭니다. 하나의 예를 들어보면 대출금이 1억원에 기간 10년(120개월), 이자율 3%라면 이자는 일단 제외하고 원금을 매달 얼마씩 갚아 나가야 하는지 계산하면 833,333원입니다. 10년동안 매월 균등한 원금을 상환하는 겁니다. 여기다가 이자 비용을 내야하는데 대출금 잔액은 매월 줄어가니까 이자도 줄어갑니다. - 1회차 납부시: 원금상환액 833,333원, 이자 25만원(월 0.25%) 입니다. 납입금액은 108,333원이고 대출금 잔액은 1억원에서 833,333.. 일반상식/경제금융지식 2022. 5. 7. 대출금 상환 방식 1 - 원금만기일시상환 계산법 대출금 상환 방식 은행의 대출금 상환 방식에는 크게 세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1. 원금만기일시상환 2. 원금균등상환 3. 원리금균등상환 상품에 따라 3년 정도의 거치기간을 두기도 하고, 그 외에 체증식 원리금 상환(뒤로 갈수록 이자 부담이 쎄지는 방식)도 있습니다. 사람에 따라 대출 심사 과정에 대해서는 많이 신경을 쓰는데 막상 대출 상환계획에 대해서는 좀 등한시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아마 은행에서 대출 심사가 통과되면 담당자들이 빠르게 설명하고 지나가는(도장 찍을게 많아서?) 이유도 약간은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은행에서 대출 승인이 되면 나머지는 서류 작성만 한가득이고 차주 입장에는 이제 빨리 대출을 받아서 잔금 지급 등 해야할 일이 바쁘니까 담당 직원을 푸시하는 손님들도 있지요. 은행 측도 상환 .. 일반상식/경제금융지식 2022. 5. 7. 공정시장가액비율이란? - 부동산 용어 6 공정시장가액비율 공정시장가액비율은 부동산 세금과 관련한 용어입니다. 나무위키의 개요에 의하면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를 산출하기 위해 과세표준을 정하는데 있어서 공시가격에서 할인을 적용하여 최종 결정되는 과세표준 기준율을 말한다 - 라고 합니다만, 조금 복잡하게 들립니다. 부동산에 대한 세금을 매기기 위해서는 기준이 되는 가격이 필요합니다. 아무나 마음대로 땅과 건물 가격을 평가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국토부의 관리아래 한국감정원이 매년 공시가격을 평가해서 공개합니다. 이 공시가격은 법적인 과세표준(세금을 매기는 표준 리스트)이 됩니다. 그런데 거기다가 복잡하게 왜 추가로 할인을 적용하느냐? 뭔가 쓸데없이 복잡한 느낌도 듭니다. 이렇게 된 이유는 2000년 대의 정치 상황에 영향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공정.. 일반상식/부동산 지식 2022. 5. 6. 광주 화정 아이파크 8개동 전면 철거 재시공, HDC현대산업개발 정몽규 그룹 회장 HDC현대산업개발(이하 HDC현산)이 지난 1월 발생한 광주 서구 화정 아이파크 외벽 붕괴 사고에 대해서 붕괴된 201동을 포함해 8개 동 전체를 전면 철거한 후 재시공하기로 했습니다. 2022년 1월11일 2단지 201동의 23~38층이 대부분 붕괴하여 사고 당시 작업하던 인부 6명이 실종되었으며 구조 당국이 29일간 구조와 수색활동을 진행했으나 안타깝게도 실종자들은 6명 전원 사망한채 수습되었습니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사고다음 날 광주시에서 진행하는 HDC현산의 모든 현장에 공사 중지명령을 내렸으며, 현재 경찰, 고용노동부, 국토교통부 등이 합동으로 붕괴사고에 대한 원인 파악과 책임자 규명을 위한 수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수십년간 현대 계열 건설사로 브랜드 이미지를 쌓아온 HDC현산이 퇴.. 뉴스 논평/부동산·금융 뉴스 2022. 5. 4. LTV, DTI, DSR 부동산 대출 용어 / 주택담보대출비율, 총부채상환비율,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 부동산 용어 5 LTV, DTI, DSR은 경제 뉴스에서 부동산 정책 관련하여 자주 나오는 단어입니다. 이 세가지가 같이 나온다면 부동산 담보 대출에 관한 내용이라고 보면 됩니다. 부동산은 지난 수십년 동안 이 나라의 핫이슈입니다. 집은 그곳에 사는 사람의 정체성의 일부이기도 하고 또 가족의 미래와도 깊은 연관이 있기 때문에 조금 빠른 사람들은 경제면에서 부동산 뉴스를 열심히 볼텐데요. 시대에 따라 LTV, DTI, DSR에 대한 정부 정책이 계속 바뀌기 때문에 주택담보대출을 받으려 한다면 이 세가지 용어는 꼭 알고 있어야 합니다. LTV(주택담보대출비율) LTV - loan-to-value ratio 의 약자로 부동산의 가치에 대해 담보로 인정하는 비율입니다. 현재 서울 등 투기과열지구는 9억원 이하의 주택에 대해 4.. 일반상식/부동산 지식 2022. 5. 4.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다음